구_수련일지

24년 5월 30일

똥닦는도인 2024. 5. 31. 00:15
반응형

밤 1시간 15분.

 

 

 

딸랑구가 "내가 호흡수련을 해야 하는 이유를 백 가지 말하면 할 게"라고 한다.

"하기 싫음 마라, 니 손해지" 하고 관심없는 척하니, 자기 장난이 안 통해 허를 찔렸는지 이것저것 묻는다.

 

《단학요결》에 석존과 예수가 호흡수련으로 깨달음을 얻었을 것이라는 내용이 있기에

슬쩍 보여주니 딸랑구가 호기심이 솟는 모양이다.

《단학요결》이 꼭 조선시대 책 처럼 생겨서 더 그러한 모양.

.
.
.
3법, 3-3초.

 

양반 다리로 앉아 호흡 시작.

 

처음의 호흡은 거칠다.

등을 수레바퀴처럼 하는 것에 유의하면서 3-3 깊게 숨을 들이마신다.

위 뒷벽을 타고 내려가는 느낌이 확실히 느껴지기에 코끝에 집중하며 호흡.

 

그러면서도 코끝을 오가는 숨결을 따라다니고자 주의 깊게 느껴본다.

아직 호흡이 거칠어 오가는 것이 느껴지진 않으나, 위 뒷벽을 타고 멈추지는 지점은 느낀다.

 

코끝에 집중하며 호흡을 이어가니, 점점 부드러워지며 가늘어진다.

가늘어지면 확실히 오가는 무엇이 느껴질랑 말랑.

 

위 뒷벽을 타고 내려 가도록 깊게 호흡할 때,

여차하면 윗 배만 부르기 쉽다.

약간의 차이로 위 뒷벽을 타고 내려가는 느낌이 나던가, 윗 배가 볼록해지는 느낌이 난다.

그 차이는 자세다.

 

 

연정원 유튜브 채널의 초기 영상 중, 성주흥 원장님의 강좌 영상이 있었는데,

그 강좌 영상 내용 중 하나가 호흡의 굵기에 대한 내용이었다.

3-3 호흡을 할 때, 일정한 호흡의 굵기를 유지할 때면, 성주흥 원장님이 그린 그 호흡 굵기 그림이 떠오른다.

반응형